Gladstone Investment Corporation(GAIN), 지금이 투자 적기일까요? 💡
안녕하세요, 월가스토리 여러분! 저는 주식분석가로 활동하고 있는 20대 여성입니다. 오늘은 Gladstone Investment Corporation(GAIN)에 대해 함께 살펴볼까 해요. 이 회사는 미국의 투자회사로, 주로 중소기업에 투자해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있어요. 최근 GAIN의 재정적 상황이 아주 흥미로운데요, 매출, 순이익, 배당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해요! 😄
![[배당주] GAIN 분석 및 전망](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목차
재정적 분석 📊
먼저, GAIN의 재정적 성과를 살펴볼까요? 과연 어떤 변화들이 있었을까요?
분기별 매출 총액, 순이익, EPS
분기 | 매출 총액($M) | 성장률(%) | 순이익($M) | EPS($) |
---|---|---|---|---|
2023년 2분기 (06.30) | 21.46 | - | 8.79 | 0.28 |
2023년 3분기 (09.30) | 20.57 | -4.14 | 47.36 | (0.05) |
2023년 4분기 (12.31) | 66.54 | 223.6 | 6.58 | 0.24 |
2024년 1분기 (03.31) | 9.00 | -86.47 | 22.58 | 0.15 |
2024년 2분기 (06.30) | 22.18 | 146.44 | -6.53 | 0.08 |
해석해볼까요?
- 매출 총액은 2023년 4분기에 큰 증가를 보였고, 2024년 1분기에는 급락했어요. 이는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얻은 수익의 변동과 관련이 있을 수 있어요. 예를 들어, 특정 기업의 주가가 급등하면 매출이 늘고, 반대로 하락하면 매출이 줄어들 수 있겠죠? 📉
- 순이익은 2023년 3분기에 급격히 증가한 후 2024년 2분기에는 다시 감소했어요. 아마도 투자와 관련된 손실이 발생했기 때문일 거예요. 투자에는 항상 위험이 따르니까요. 🥶
- EPS(주당순이익)는 매 분기마다 변동이 심한데, 이는 GAIN이 여러 차례 포트폴리오 재편과 자산 매각을 진행했기 때문이겠죠? 특히 2024년 1분기와 2분기의 EPS는 각각 0.15와 0.08로, GAIN이 투자 수익을 일정 부분 회복했음을 알 수 있어요. 📈
부채비율, ROE, FCF, PER 비율
분기 | 부채비율(%) | ROE(%) | FCF($M) | PER |
---|---|---|---|---|
2023년 2분기 (06.30) | 1.02 | 4.37 | -21.17 | 14.69 |
2023년 3분기 (09.30) | 1.00 | 21.40 | -69.94 | - |
2023년 4분기 (12.31) | 1.10 | 2.86 | -4.5 | 14.10 |
2024년 1분기 (03.31) | 1.04 | 9.76 | 36.6 | 13.5 |
2024년 2분기 (06.30) | 1.10 | -2.83 | -29.73 | - |
여기서도 몇 가지를 살펴볼까요?
- 부채비율은 꾸준히 1배 수준으로 유지되어 안정적인 자본 구조를 보이고 있어요. 부채비율이 1배라는 것은 자본과 부채의 비율이 거의 같다는 뜻이에요. 이는 GAIN이 과도한 부채 없이 운영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죠. 😄
- ROE(자기자본이익률)는 2023년 3분기에 급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했어요. 이는 투자에서 큰 이익을 실현했지만, 이후 손실을 겪었기 때문일 거예요. ROE는 기업이 자기 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예요.
- FCF(자유현금흐름)는 2024년 1분기에만 플러스로 나타났어요. 이는 이 분기에 투자로 인한 현금 유입이 많았음을 의미해요. 자유현금흐름은 기업이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현금 중에서 필수적인 자본 지출을 제외하고 남은 현금을 말해요.
- PER(주가수익비율)은 2023년과 2024년 사이 큰 변동이 있죠. PER은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으로, 투자자들이 그 기업의 수익에 대해 얼마나 지불하고 있는지를 보여줘요. PER이 높으면 주가가 고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어요.
배당 분석 💰
GAIN의 배당 정책은 투자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요, 자세히 살펴볼게요!
GAIN의 배당 정책과 역사
Gladstone Investment는 매월 배당을 지급하는 독특한 배당 정책을 유지하고 있어요. 2024년 10월 기준으로 배당 수익률은 6.62%로, 투자자들에게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제공해왔어요. 배당 수익률은 투자한 금액 대비 얼마나 배당을 받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이에요. 예를 들어, 100만원을 투자했는데 연간 6만6,200원을 배당으로 받는다면, 배당 수익률이 6.62%인 거죠! 💵
배당 내역을 한 번 볼까요?
배당락일 | 배당($) | 유형 | 지불일 | 수익률(%) |
---|---|---|---|---|
10월 04, 2024 | 0.70 | 월간 | 10월 15, 2024 | 56.72% |
9월 20, 2024 | 0.08 | 월간 | 9월 30, 2024 | 7.04% |
8월 21, 2024 | 0.08 | 월간 | 8월 30, 2024 | 7.14% |
7월 22, 2024 | 0.08 | 월간 | 7월 31, 2024 | 6.86% |
6월 18, 2024 | 0.08 | 월간 | 6월 28, 2024 | 6.85% |
5월 16, 2024 | 0.08 | 월간 | 5월 31, 2024 | 6.76% |
4월 18, 2024 | 0.08 | 월간 | 4월 30, 2024 | 6.88% |
3월 20, 2024 | 0.08 | 월간 | 3월 29, 2024 | 6.91% |
2월 20, 2024 | 0.08 | 월간 | 2월 29, 2024 | 6.62% |
1월 22, 2024 | 0.08 | 월간 | 1월 31, 2024 | 6.62% |
12월 15, 2023 | 0.08 | 월간 | 12월 29, 2023 | 6.71% |
12월 04, 2023 | 0.88 | 월간 | 12월 15, 2023 | 72.98% |
11월 17, 2023 | 0.08 | 월간 | 11월 30, 2023 | 6.51% |
11월 06, 2023 | 0.12 | 월간 | 11월 17, 2023 | 9.69% |
10월 19, 2023 | 0.08 | 월간 | 10월 31, 2023 | 7.59% |
9월 20, 2023 | 0.08 | 월간 | 9월 29, 2023 | 7.40% |
9월 06, 2023 | 0.12 | 월간 | 9월 15, 2023 | 11.15% |
8월 22, 2023 | 0.08 | 월간 | 8월 31, 2023 | 7.51% |
7월 20, 2023 | 0.08 | 월간 | 7월 31, 2023 | 7.01% |
6월 20, 2023 | 0.08 | 월간 | 6월 30, 2023 | 7.33% |
6월 02, 2023 | 0.12 | 월간 | 6월 15, 2023 | 11.02% |
5월 22, 2023 | 0.08 | 월간 | 5월 31, 2023 | 7.33% |
4월 20, 2023 | 0.08 | 월간 | 4월 28, 2023 | 7.04% |
3월 16, 2023 | 0.08 | 월간 | 3월 31, 2023 | 7.37% |
3월 02, 2023 | 0.24 | 월간 | 3월 15, 2023 | 20.70% |
2월 16, 2023 | 0.08 | 월간 | 2월 28, 2023 | 6.86% |
1월 19, 2023 | 0.08 | 월간 | 1월 31, 2023 | 6.99% |
GAIN에 1억을 넣으면 얼마의 배당이 나올까?(클릭)
해석해볼까요?
- 2024년 10월: $0.70의 추가 배당이 지급 예정이에요. 추가 배당은 특별한 이익이 발생했을 때 주주들에게 더 많은 수익을 돌려주는 거예요. 🎉
- 매달 $0.08씩 꾸준한 배당을 지급해왔어요. 이는 투자자들에게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죠.
배당 수익률이 높으면 좋은 걸까요? 물론 높은 배당 수익률은 매력적이지만, 너무 높다면 기업의 재무 상태를 한 번 더 살펴봐야 할 것 같아요. 배당을 유지하기 위해 무리를 하고 있을 수도 있으니까요. 😅
배당 성향(Payout Ratio)
배당 성향은 47.51%로, 회사의 수익에 비해 배당이 적절한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어요. 배당 성향은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 중에서 얼마나 배당으로 지급하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이에요. 예를 들어, 배당 성향이 50%라면, 벌어들인 이익의 절반을 배당으로 준다는 뜻이죠.
하지만 배당 성향이 너무 높으면 위험할 수 있어요. 왜냐하면 이익이 줄어들면 배당을 유지하기 어려워질 수 있으니까요.🤔
배당 지급의 위험 요소
최근 GAIN의 배당 커버리지가 조금 불안정하다는 분석이 있어요. 100%에 가까운 배당 성향은 배당 지급이 회사의 이익과 거의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하니까요. 이익이 줄어들면 배당이 감소할 가능성도 있겠죠. 특히, 금리가 하락하면서 GAIN의 수익성에 압박이 있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어요.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가 GAIN의 순투자수익(NII)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에요. NII는 투자로부터 얻는 순이익을 말해요.
또한, 일부 분석가들은 GAIN이 장기적으로 배당 성향을 낮추어야 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어요. 하지만 현재로서는 배당 지급을 계속 이어가고 있는 만큼, 배당 감축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은 낮아 보여요.
향후 배당 전망
GAIN은 꾸준히 배당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지만, 금리와 같은 외부 경제 요인에 큰 영향을 받아요. 2024년 10월 기준으로, 추가 배당이 계획되어 있으며, 이는 회사의 강력한 투자 회수 성과에 따른 결과예요. 다만, 금리 인하가 계속된다면 GAIN의 대출 수익이 줄어들어 배당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어요.
또한 GAIN의 포트폴리오가 대부분 중소기업에 집중되어 있어, 경기 침체나 기업의 성과 악화 시 수익성이 감소할 수 있다는 점도 배당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GAIN의 부채 비율은 안정적이지만, 포트폴리오 기업의 성과에 따라 변동성이 클 수 있겠죠.
국제 금융시장 영향 🌐
최근 미국의 기준금리 동향, 인플레이션, 국제유가 등은 GAIN의 성과에 영향을 미쳤어요. 미국의 고금리 환경은 투자 비용 증가로 이어졌지만, 동시에 일부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고금리의 이점을 활용한 자산 운용이 가능했죠. 또한, 양적완화(QE)와 관련한 정책이 변화한다면, GAIN과 같은 투자회사에 추가적인 변화를 불러올 가능성도 있어요.
여기서 양적완화가 무엇인지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설명드릴게요! 양적완화는 중앙은행이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해 국채나 다른 자산을 대량으로 매입하는 정책이에요. 이를 통해 금리를 낮추고 경기를 부양하려는 목적이 있죠.
결론 📝
Gladstone Investment는 매월 배당을 지급하며, 높은 배당 수익률을 유지하고 있어요. 추가 배당도 주기적으로 지급하며, 투자자들에게 꾸준한 현금 흐름을 제공하고 있죠. 그러나 최근 금리 인하와 같은 경제적 요인들이 GAIN의 배당 지속 가능성에 일부 도전 과제를 제기하고 있어요. 앞으로도 배당이 유지될 가능성은 크지만, 경제 상황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들은 이를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할 것 같아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지금이 GAIN에 투자할 적기일까요? 아니면 조금 더 지켜봐야 할까요? 🤔
이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니며, 투자에 대한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어요. 📉 주식 투자 시 항상 신중한 판단이 필요하다는 점을 기억해주세요!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을 눌러주시고, 댓글도 남겨주시면 큰 힘이 될 것 같아요! 😊❤️
'미국주식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등주] CHSN 분석 및 전망(feat. 커피) (0) | 2024.10.05 |
---|---|
[급등주] RNAZ 분석 및 전망(feat. 임상) (0) | 2024.10.04 |
[우량주] INTC 분석 및 전망(feat. 정부지원) (0) | 2024.10.04 |
[급등주] ELAB 분석 및 전망(feat. 탈모치료?) (1) | 2024.10.04 |
[가치주] SMR 분석 및 전망(feat. 소형 원자로) (1) | 2024.10.04 |
댓글